Canvas’ Cabinet

Curation, Artists, Design, Installation: Luna Kim, Kion Rhie, Yeji Lee, Juwon Jeong, Yeri Jin.

Preface: Yeri Jin

Dates: 2025.5.4~5.20, 1~7pm(No days off)

Venue: 3F, 7, Hyehwa-ro 9 gil, Jongno-gu, Seoul. Art these days

Canvas’ Cabinet은 회화라는 완결된 이미지를 위해 과정적으로 탈락되고, 소외되고, 버려진 수많은 사건들을 복기하여 재구성하는 전시이다. 이를 위해 다섯 작가는 캔버스 외부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을 다룬다. 

작가들은 각자 서랍 속과 머릿 속을 뒤적이며 작품의 시작점을 돌이켜 본다. 이들은 완성된 회화 이미지 속에, 아무도 모르게 봉인된 시작점, 작업의 단초가 되던 흩어진 메모들, 과정으로부터 촉발된 우연한 시도의 흔적들을 그러모은다. 김륜아, 이경주, 이예지, 정주원, 진예리 다섯 작가는 자신의 작업과정을 톺아보며 완성이라는 평탄화 과정과 함께 끊어내던 울퉁불퉁한 시간과 공간의 경험을 소환해낸다. 그림을 위해 재료들과 맺었던 촉각적 접촉, 압축된 이미지가 되기 이전의 두서없던 만연체의 말들 혹은 실체 없는 대상은 이 전시를 통해 물질적 차원으로 제시된다. 프레임 밖으로 잘린 과거를 현재로 소급하고 이를 물질화하는 과정은 회화가 그저 입이 없을 뿐, 말이 없는 매체가 아님을 드러낸다. 그렇기에 이번 전시의 제목인 캔버스의 캐비넷(canvas’ cabinet)은 자기지시적이면서도 자기복제적이진 않은 함의를 내포한다.

서문: 진예리

2025년 1회 요즘미술 마켓

1회 ‘요즘미술 마켓’에 현대미술에 관심있는 개인 소장가와 일반 관객을 초대합니다. 

본 마켓은 일반적인 아트 페어와 달리 볼거리, 먹을거리, 입을거리, 꾸밀거리, 읽을거리, 즐길거리, 생각할거리 등 다양한 요소가 등장합니다. 미술가(26개 팀)들이 직접 부스를 운영하여 작품, 물질, 비물질을 전시, 판매하는 것은 ‘생활’이 ‘예술’이 되는 흥미로운 순간입니다. 대형 아트 페어에서는 볼 수 없는 유쾌한 미술시장을 함께 체험해 보세요.

참여작가

김륜아, 김유진, 김정아, 김정윤, 김정은, 류보미, 맹성규, 박영선, 박용석, 소보람, 신정균, 오인환, 윤소린, 이세린, 이윤수, 이은정, 이정근, 임은빈, 장수미, 정정화, 최민경, 최수진, 황귀영, 낫씽이즈리얼, 지질학적 베이커리, 케이크메신저(이상 26팀)

행사기간: 2025년 04월 05일(토)~06일(일) 13:00~18:00

행사장소: 서울시 종로구 혜화로 9길, 7. 3층

관람무료

전화 문의: 02-6958-5753

art-thesedays.com | 인스타그램 @art_thesedays

주차공간이 협소하므로 차량을 이용하시는 관객께서는 도보 5분 거리의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주차장(종로구 혜화동 1-21, 10분당 800원) 이용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