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적이며 덜컹대는》박지인 개인전

요즘미술 기획전

전시명 : 《임시적이며 덜컹대는》박지인 개인전

전시기간: 2024. 07. 07 – 27 (월요일 휴관)

전시시간: 13:00-19:00

오프닝: 07. 07 14:00

아티스트 토크: 07. 20 14:00 모더레이터: 박혜진(독립 큐레이터)

기획: 요즘미술

후원: 신종미술

설치: 미공개건축사사무소 김순모

도움: 윤소린, 이윤수, 신예지

전시는 결혼과 동거 사이의 생활 속에서 형태의 불확실성을 느끼고 거슬리는 일상의 순간들을 마주한 과정을 담는다. 부유하기 상태에서 한 쪽을 선택하기보다 그 사이를 헤엄쳐 보기로 하면서 결혼하거나 동거의 상태에 있는 여성들에게서 소음, 타협, 불협화음, 조율을 전해 듣는다. 모호하게 경계 위에 놓인 것이 살아감을 더디게 하고 작가로서의 자신을 삐걱거리게 하는 상태가 아니라 같음을 통해 다름을 찾고, 다름을 통해 비슷함을 받아들이는 유연한 상태임을 말한다. 전시를 통해 동거는 소음, 타협, 불협화음, 조율과 기꺼이 살아간다는 의미로 다름의 고유한 시간을 함부로 경계 짓지 않는, 어떤 또 다른 방식의 사랑의 마음이자 모두가 다른 모양의 집을 구축할 수 있는 삶의 태도로 현시된다.


<사랑하는 우리의 머리카락> 2022, 머리카락 설치 후 사진기록, 타일에 인쇄

나와 파트너는 같이 살고 있지만 혼인신고는 하지 않기로 했다. 결혼과 동거의 중간 즈음에 속하는 사이에서 ‘우리’가 되고 싶기도, ‘너와 나’로 남고 싶기도 했다. 이러한 모순된 감정을 지속적으로 느끼며 화장실에서 머리카락으로 서로에게 4달간 메시지를 남겼다. 머리카락은 사랑의 언어에서 불편감의 언어로 그리고 다시 사랑의 언어로 반복해서 사라지고 나타난다.

<커튼> 2021, 페브릭에 인쇄, 5장의 사진기록, 영상, 1분 51초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동거하는 여성들과 그들의 동거 경험을 대화했다. 대화의 내용 은 커튼으로 제작되었으며 그 중 하나는 작가의 것으로, 각각의 여성 집의 거실에 설치 후 촬영되었다. 외부를 가리는 용도인 커튼은 동거하는 여성들의 개인의 상황이 사회적으로 노출될 때 그들이 느끼는 지점들을 반영한다.

*커튼 중 한 여성은 자신의 커튼이 전시장에 걸리기를 원하지 않았고, 여닫는 영상 이미지 에 동의했다.

<결혼 생활> 2022, 5개의 식탁보 위에 글씨

혼인신고 통해 결혼생활을 하고 있는 여성 지인들을 만나 그들의 집 식탁에서 대화를 나누었다. 우리는 이 시간 동안 고민과 공감 그리고 차이점에 대해 대화하며 함께 식탁보에 흔적을 남겼다.

<둘> 2024, 사진, 10.2 x 15.2 cm 6개

비슷하기도 하고 다르기도 한 모습들에 대한 기록이다.

<친밀한 탱고> 2022, 투채널 영상, 3분 33초

나와 파트너는 서로에게 한 번도 요구한 적 없는, 생물학적 성별에 따른 사회 가 정한 의무를 지닌 채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개인의 몫을 해내고 있음에도 기생 하고 있는 것만 같은 상황과, 책임져 달라고 말한 적 없는 상대방을 책임져야 한다는 마음에 대한 이야기를 출발점으로 시작했다. 탱고는 팀워크가 필요한 춤이지만 주로 남성에 의해 리드되고 여성은 이를 따르는 팔로워의 역할을 맡는다.

<나의 집들> 2024, 타프 설치, 3개의 오브제, 영상, 6분 45초

내가 선택한 세 가족은 모두가 함께 살지 않는다. 나는 가족이라는 단어를 집단 의 형태보다 관계로서의 의미에 무게를 두고 애정과 불편감을 동반한 나의 집들을 기록했 다. 상황에 맞게 가변될 수 있는 타프는 나를 중심으로 맺는 관계에 따라 구성되는 방식과 형태가 달라짐을 보여주는 임시적 장소로 기능한다. 영상 속 배경은 내가 거주 또는 일하는 곳으로 각 대상들과 가깝게 느끼는 장소이며, 세가지 오브제들은 각각, 진수와 내가 서로가 싫어하는 것, 영식의 장난감인 나의 양말과 그의 털에 관한 것, 유나와 내가 주고 받았던 책 과 꽃의 기록 그리고 개인전 축하를 위해 유나가 보내준 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쪽 또는 저쪽에 정확히 속하는 사람의 목소리는 또렷하 다. 그 틈에서 어떤 것도 택하지 못했던 나의 일상은, 바깥 에서 내 방 유리창을 불규칙하게 두들기는 소리를 내며 거 슬리게 했던 알 수 없는 물체를 바라보던 일과 닮았다. 무 엇인지 정확히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찾아서 떼어내 버릴 수 도 내 방을 떠날 수도 없던 나의 태도로 인해 나는 또렷하 게 말할 수 없었고 지금을 살아가는 나, 작가로서의 나 모 두를 미심쩍어하며 부유했다.

의심하기를 멈추고, 사이를 부유하는 상태를 나의 의지적 인 움직임으로 만들기로 하면서 나는 발언을 하기 위한 나 의 분명한 목소리를 찾기보다는 이쪽 저쪽 헤엄쳐 떠다니 며 일상에서 거슬리게 덜컹거리는 소리들을 들었다. 다르 다고 분리했던 곳에서 비슷한 소리를, 비슷하다고 여겼던 곳에서 어긋나는 소리를 들으며 많은 것이 사실은 경계 위 에서 모호하게 부유하고 있음을 느꼈다. 둘로 나뉘는 경계 가 무의미해지고 분명한 선택은 불필요했다. 나는 한쪽에 만 있었다면 들을 수 없던 불분명한 것들을 모아 내 방 유 리창을 불규칙하게 두들겼던 그 물체들을 눈앞에 가져오 려고 했다. 그 물체들의 구현은 내가 경험한, 그리고 이쪽 과 저쪽에서 만난 이들에게 전해 들었던 소음, 타협, 불협 화음, 조율이 가지는 의미와 가능성에 의지한다. 소음, 타 협, 불협화음, 조율 – 자의로 기꺼이 이것들과 동거하며 살 아간다는 것은 다른 삶의 방식들을 내 옆에 두며 내가 알지 못하는 고유한 시간들을 함부로 경계 긋지 않는, 어떤 또 다른 방식의 사랑의 마음이라고 여긴다.

작가 스테이트먼트

자세히 보기

개관전 《안녕하세요》

전시명:《안녕하세요》

참여작가: 박용석, 오인환, 이미혜

전시기간: 2024. 5. 7 – 5. 30

전시시간: 13:00-19:00

주최/기획: 요즘미술

공간 디자인, 시공: 미공개건축사사무소

도움 주신 분: 강인숙, 권자연, 김순모, 김인선, 김정은, 김한울, 박영선, 박태석, 박학재, 박형미, 오인환, 윤소린, 이미혜, 정정화, 황귀영

휴관일 없음, 별도 오프닝행사 없음

‘요즘미술’은 작가 중심으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현재 언저리 시간에서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루는 예술가들이 전시하고 연구하고 교육하는 곳입니다. ‘요즘미술’의 전시는 특이한 재능보다 특별한 태도를, 완결된 작품보다 진행형 작업을 귀하게 여깁니다. 최신을 좇는 조급한 마음보다 느릿하더라도 요즘 고민들을 풀어놓고 섬세한 감각과 날카로운 시선을 지닌 작가들의 프로젝트를 존중하는 전시공간이 되고자 합니다. ‘

요즘미술’의 시작을 열어줄 박용석, 오인환, 이미혜 작가는 이러한 요즘미술의 방향성을 공유합니다. 2000년에 처음 만난 세 작가는 사회와 예술 현장을 동시적으로 감격하고 분노하며, 서로의 생활과 작업을 지적하고 흠모하면서 감화해 왔습니다. 이번 개관전은 작가로서 서로에게 ‘안녕’을 물으며 각자의 작업 태도와 방향을 엮어 봄으로써 ‘요즘미술’의 방향을 함께 엿보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이미혜 Meehye Lee
<국민알파벳-d>_현수막 원단에 UV-print, 사진 촬영용 배경지 거치대, 사진 촬영 조명, 디지털 프린트, 동영상_가변크기_2022(2024 요즘미술 버전)

대체 이 d는 무엇인가?
왜 하필이면 d인가?
‘d’는 디앤디파트먼트 제주(d&department JEJU)의 건물 외벽에 그려진 로고다. 2022년 당시 제주도에 가면 이 ‘d’ 앞에서 인증샷을 찍어 SNS에 올리는 것이 국룰이었다. 알파벳 소문자 ‘d’가 그려진 회색의 시멘트벽 앞에서 사진을 찍기 위해 줄을 서서 차례를 기다리는 것도 흥미로웠지만, 셀 수 없이 많은 사람이 하나의 촬영 지침을 따르기라도 한 듯 유사한 구도와 포즈,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는 점은 더 놀라웠다.

“National-d”는 남들이 다 가는 곳에 나도 가서, 남들이 다 본 것을 나도 보고, 남들이 다 한 것을 나도 했다’는 집단적인 행동 패턴을 가시화한 작품이다. ‘d’가 그려진 디앤디파트먼트 제주의 외벽과 바닥을 촬영하고 프린트해서 만든 포토 스튜디오와 인스타그램에서 다운로드한 사진들, 인생샷 십계명, 그리고 디앤디파트먼트 제주 현장을 기록한 동영상으로 구성된다.

이 작품은 2022년 독일 라이프치히 현대미술관(GfZK Leipzig)에서 처음 전시되었는데, 4개월의 전시기간 동안 그곳에서 촬영된 가짜 ‘d’들이 한국의 진짜 ‘d’들 사이로 잠입해 미세한 균열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소셜 미디어에 의해 야기되는 집단주의 문화를 교란시키고자 했다.

박용석 PARK Yong-seok
<소녀상>_책_190x235cm(10권)_2014-2023(제작 2024)

나의 사진에는 조각이 등장하지 않는다. 이 작업은 두 가지 전제에서 시작된다. 첫째, 조각을 예찬하는 작업이 아니고 둘째, 존재를 부정하는 작업이 아니다. 만약 사진 속에 조각이 있었다면 어떠한 역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조각의 모습에 안도하는 작업일 것이고 만약 조각을 부정하고자 했다면 수고롭게 오랫동안 규칙적으로 찍을 이유가 없을 것이다. 나는 대신 두 가지 풍경에 시선을 안내한다. 첫째, 조각 주변에 남겨놓은 목도리, 인형, 꽃 등의 사물이다. 그것은 미안함, 분노, 위로 등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들을 대변한다. 둘째, 푯말, 지킴, 시위, 다툼 같은 활동들이다. 이것은 이념, 젠더, 환경, 정치 등의 사회문제가 갈등하는 현장임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렇게 매주 10년간 사진을 찍는 작업은 현재 우리의 모습을 찍은 과거들이다. 사람들이 ‘소녀상’이라고 부르는 것은 <평화비>의 제목을 정확히 모르고 조각의 소녀 이미지 때문에 그렇게 불리어졌을 것이다. 나는 사람들이 없지만 있는 어떤 ‘소녀상’을 호명한다면 그 대상이 우리의 어떤 모습들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사진 제목을 <소녀상>이라 하였다.

박용석 PARK Yong-seok
<칭찬달력>_달력에 스티커다양한 크기_2014-현재 진행중

나는 달력에 스스로 칭찬하는 행위를 했다. 이 달력들은 우연찮게도 <소녀상> 작업을 시작한 해와 겹치는데 이 달력을 보고 있으면 채워진 스티커와 비어있는 날짜들 모두를 통해 ‘살아간다’는 ‘호흡’을 느끼게 한다.

오인환 Inhwan Oh
<사각지대 찾아가기>_2채널 비디오_12분 26초_2014/2019

이 작품의 출발은 참여자들이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했던 자신만의 사각지대(장소)를 찾아가는 다수의 안내문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사각지대를 찾아가는 종합적인 길 안내문’을 만든 것이다. 그리고 작가는 서울과 로스앤젤레스에서 길 안내문의 지시를 따라서 사각지대를 찾아가는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퍼포먼스의 과정은 작가가 하늘을 향해 들고 다니는 비디오카메라에 의해 기록된다. 동일한 길 안내문을 따라 이동하는 퍼포먼스를 다양한 도시에서 실행할 때 일치 또는 불일치들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변화하는 장소에서 동일한 지시문은 반복하는 퍼포먼스는 달라진 문맥에서 지시문을 해석하는 과정이다. 또한 분명히 존재하지만 도달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찾아가는 퍼포먼스를 반복하는 것은 사각지대 찾기의 의미는 ‘도착’이라는 결과가 아닌 찾기라는 ‘과정’이라는 작가의 해석을 드러낸다.

오인환 Inhwan Oh
<사각지대 드로잉>_피그먼트 프린트(피부에 아이펜슬)_44.91×67.33cm_2024

<사각지대 드로잉>은 참여자들이 자신 몸에서 손이 닿지 않는 부위을 찾아 아이펜슬로 그려서 시각화한 것이다. 개인마다 고유한 사각지대를 갖고 있으면 개인의 사각지대는 누구에게나 가장 가까운 곳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자세히 보기